군대에서 겪은 소름 돋는 실화: 시체의 정체는?
제가 강원도에서 군복무를 할 때의 일입니다. 일병 시절 여름, 매일 스트레스를 받으며 군 생활을 하던 중이었죠. "장마야, 빨리 오거라!" 하고 기다리던 차에, 마침 장마가 찾아왔습니다.
그런데 그해 장마는 비가 너무 많이 내려 마을에 홍수가 날 정도였습니다. 홍수 지역도 아닌데 말이죠. 비가 오면 할 일이 줄어들어 저야 좋았지만,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산사태가 나고 둑을 만들러 가야 하는 등 오히려 더 고생하게 되었습니다.
장마가 멈출 생각 없이 계속되었고, 결국 마을에 심각한 홍수가 났습니다. 집이 떠내려가고, 사람들이 실종되며, 가축이나 차들이 떠내려가는 상황이었죠. 하늘이 하는 일이라 어찌 막을 수도 없었고, 사람이 살아남는 게 신기할 정도였습니다.
홍수가 심하게 나고 비가 그쳤습니다. 마을을 복구해야 했기 때문에 구조대와 소방관들이 일을 시작했지만, 일손이 부족해 저희도 돕게 되었습니다. 작은 동네라 구조대와 소방관이 겸직할 정도였고, 저희 부대도 소방관들과 친하게 지내며 가끔 축구도 했었습니다.
가장 급한 일은 실종된 사람들, 즉 시체를 찾는 일이었습니다. 땅인지 강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물바다가 되어 보트를 타고 조를 짜서 시체를 찾으러 다녔습니다. 저는 박 병장과 2인 1조가 되어 별생각 없이 보트를 저으며 수색 작업을 했습니다.
하루가 지나고 이틀이 지나도 수색 작업은 계속됐고, 4일째 되는 날이었습니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잡초를 헤치며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그때 너무 검은 잡초가 눈에 보였습니다. 보트를 멈추고 가까이 가보니, 순간 등골이 오싹했습니다. 아무래도 사람 머리카락 같았습니다. 가까이 갈수록 확실했죠.
저는 시체를 본 적이 없어서 제 판단이 아닐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 박 병장에게 말했습니다.
나: "박 병장님!"
박병장: "왜?"
나: "제가 지금 시체를 발견한 것 같습니다."
박병장: "어? 개소리 하지 마라."
나: "아닙니다. 제가 보기에는 확실합니다."
박병장: 씨발 어딘데?
제가 그 위치로 노를 저어 보여주자 박 병장은 잠시 당황하더니 말을 안 하고 생각하는 것 같더니 아무렇지도 않게 말했습니다.
박병장: ○○아, 저거 시체 아니야. 가자."
나: "제가 보기에는 시체가 확실합니다. 검은 잡초는 없지 않습니까?"
박병장: "니가 뭘 아냐? 아니라고. 그냥 가자고."
나: "그래도 그냥 건져보는 게 낫지 않습니까?"
박병장: "아니라고 몇 번을 말해. 내가 안다고. 그냥 가자."
나: "그래도 그냥 건져나 보는 게..."
박병장: "야이 개새끼야! 내가 가자면 가는 거야, 개새끼 씨발놈아!!!!!!!"
박 병장은 갑자기 저에게 큰 소리로 욕을 했습니다. 저는 그냥 건져보자는 얘긴데, 아니라고 우기면서 갑자기 화를 내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일병이라 뭔 힘이 있겠습니까? 고참이 가자는데 가야죠. 힘없이 노를 저으며 작업을 끝내려 하는데 박 병장이 말했습니다.
박병장: "미안하다, 욕해서. 별거 아니니까 신경 쓰지 마라. 정 찝찝하면 저기 소방관들한테 확인해달라 그래."
평소 괴롭히기 좋아하는 박 병장이 욕한 걸로 미안하다고 말하니 이상했습니다. 당황한 건지 겁먹은 건지, 표정도 이상하고, 뭔가 못 볼 걸 본 사람 마냥 표정이 굳어있었습니다. 그렇게 저희는 마을 복구하는데 도우라는 명령을 받고 이동하는 도중에 소방관들이 있었습니다. 박 병장이 담배 한 대 피고 가자고 해서 소방관들과 저희 부대원들 몇 명과 모여 담배 피며 사소한 얘기를 나누다가 제가 아까 본 시체 같은 검은 잡초 얘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는 그리 심각한 얘기로 받아들이지 않는 건지, 모두들 뭔가 아는 듯 미심쩍은 표정을 지으며 그러려니 하며 말을 돌렸습니다. 그런데 그때 한 소방관이 위치가 대충 어디냐고 물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위치를 설명해줬습니다. 그러자 저도 한시름 마음이 놓였습니다. 각자 이동하고 일을 마치고 부대로 들어왔습니다. 고생했다고 뽀글이를 먹을 수 있게 해줬습니다. 좋다고 뽀글이를 먹고 담배 피고 하다 내일도 수색 작업이기에 잠을 잤습니다.
그런데 뭔지 모르게 자꾸 머릿속에서 떨어져 나갈 듯 말 듯 이상한 기분이 든 채 잠이 들었습니다. 다음 날 그 이상한 기분으로 잠을 깨고 역시나 아침부터 수색 작업을 나갔습니다. 다들 같은 현장에 모여서 일을 시작하기 때문에 저희도 그쪽으로 갔습니다. 분위기가 평소와는 다르게 심각한 얘기를 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저도 끼어들어서 얘길 들었습니다.
얘길 듣는 순간, 머리를 망치로 맞은 느낌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어제 소방관 한 명이 수색 작업 중 실종되었다는 얘기였습니다. 저도 소방관분들 얼굴은 다 알아서 어떤 분이냐고 물어보니 어제 저한테 시체 같은 게 위치가 어디냐고 물어봤던 분이었습니다. 어제까지 같이 담배 피웠는데 그분이 실종되었다니 실감이 나질 않았습니다. 물바다가 난 판에 말이 실종이지, 사람들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박 병장 안색이 창백했습니다. 제가 어디 아프냐고 물어봤더니 갑자기 저를 끌고 사람 없는 곳으로 갔습니다. 창백한 얼굴로 저에게 말했습니다.
나: "왜 그러십니까, 박 병장님? 안색이 장난 아닙니다."
박병장: "야... 너 어제 그거 사람 시체 확실했냐?"
나: "아, 그거 말씀이십니까."
박병장: "그 시체 얼굴 봤냐고."
나: "아니요, 머리카락 같은 것만 보였습니다."
박병장: "그치? 얼굴은 안 보이고 머리만 보였지?"
나: "예, 그렇습니다. 근데 박 병장님이 아니라고 하지 않았습니까?"
나: "왜 그러십니까?"
박 병장은 5분 정도 생각만 하다가 입을 열었습니다.
박병장: "야... 우리 집이 그... 점 같은 걸 좀 심하게 믿거든? 우리 고모가 점쟁이고, 그래서 우리 집 굿도 많이 하고 그래. 근데... 고등학교 때 우리 집 앞 강에 사람이 자꾸 죽어서 고모가 굿을 한 적이 있었어."
나: "예."
박병장: "근데 굿이 끝나고 고모가 나한테 말해줬던 게 있는데..."
나: "뭡니까 그게?"
박병장: "고모가 혹시라도 앞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놀 때 사람 시체를 보면 절대 건들지 말라고 했거든."
나: "절대 건들지 않으면 시체를 어떻게 꺼냅니까?"
박병장: "그러니까 시체가 어떻게 죽어 있나 먼저 보라고 했거든. 사람 시체는 물속에서 절대 곧게 서질 않아. 일자로 서 있을 수 없다고. 그러니까 사람 시체는 얼굴이 보일 정도로 비틀어져 있거나 옆으로 떠 있거나 그래야 해. 근데 네가 본 건 머리카락만 보였다며."
나: "예, 그렇습니다. 머리카락만 떠 있었습니다. 그럼 그건 뭡니까?"
박병장: "물귀신이야."
사람 시체는 그럴 수 없어. 물귀신은 지상에서 죽은 귀신과 달리 하늘로 못 올라가. 사람들이 물귀신 작전이라고 하잖아? 말 그대로야. 자기 자리를 채워놔야 올라간다더라.
그 순간, 저 얼었습니다. 그때야 알았습니다. 박 병장은 그 상황에 물귀신인 줄 알고 절대로 건들면 안 된다는 것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못 건들게 하려고 욕을 하며 화를 낸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박 병장도 실제로 본 건 처음이라 저한테 바로 말할 수 없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시체 위치를 물어본 소방관이 어제 수색 작업 중 실종됐다는 소리를 듣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던 거죠.
며칠이 지나고 물도 다 말랐습니다. 부서진 집들만 빼고는 그 마을은 원래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 소방관은 실종 상태였습니다.
시간이 흘러 박 병장이 제대하고 저도 제대했습니다. 그 일이 있고 나서 그곳에서는 익사사고가 계속 났습니다. 물론 실종으로 처리됐고요. 가끔 여름휴가 때 그곳을 지나가면 그때 일이 생각나서 동네분들께 혹시나 하고 물어보면 여전히 익사사고가 나서 몇 번이고 굿을 해도 사고는 계속된다고 하더군요.
'공포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공포실화] 영덕 폐가의 소름돋는 비밀ㅣ친구가 본 거울 속 충격적인 장면ㅣ괴담ㅣ공포썰 (4) | 2024.10.25 |
---|---|
[한국공포실화] 케이블 방송을 보던 병사, 갑자기 비명 지른 이유는?ㅣ괴담ㅣ공포썰 (3) | 2024.10.18 |
[공포실화] 뒷짐지고 자는 친구ㅣ무서운이야기ㅣ공포라디오ㅣ오엘 공포라디오 (1) | 2023.03.10 |
[공포실화] 인신매매 썰ㅣ무서운이야기ㅣ공포라디오ㅣ오엘 공포라디오 (0) | 2023.01.23 |
[공포실화] 저 병철인데요ㅣ괴담ㅣ공포라디오ㅣ오엘 공포라디오 (0) | 2023.01.20 |